메타버스와 공간정보
1. 현실 세계+효율성+확장성 = 거울 세계
-구글 어스,네이버 맵 등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거울 세계에 해당. 인터넷 지도 서비스에서는 이미지로 표현된 도로, 건물들의 모습과 주소를 포함하여, 거리의 모습을 사람의 눈높이에서 찍은 사진과 높은 곳에서 찍은 항공사진 제공
-현실 세계의 지도를 데이터화한 자료는 거울 세계 구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 이런 지도 서비스들은 주기적으로 지도 정보를 업데이트하면서 현실 세계의 변화를 최대한 빨리 반영하려고 노력
(김상균, 메타버스, 도서, 2021.6.27, p157)
2. 구글은 왜 지도를 만들까?
-구글은 지도 서비스를 2005년 2월 발표
~거울 세계 메타버스를 만들고 활용하는 기업, 국가가
늘어날수록 구글이 갖고 있는 지도 데이터의 영향은 실로막강 해 짐. ~ 거울 세계 메타버스가 활성화되면서 구글은 이제 여러 거울 세계의 밑그림을 쥐고 있는 거대한 권력자가 된 셈.
( 김상균, 메타버스, 도서, 2021.6.27, p.160~161
3. 방 없는 호텔: 에어 비앤비
-구글 지도가 현실 세계에서 사람들이 공유하는 외부 공간을 주로 거울 세계에 옮겼다면, 에어비엔비는 개인이 사는 가정집 내부를 거울 세계 메타버스에 복사. (김상균, 메타버스, 도서, 2021.6.27, p172)
4. 블록체인으로 만들어진 거울 세계: 업랜드
-업랜드는 구글 지도에 등장하는 실제 부동산 정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에 참여하는 사람들끼리 실제 주소와 연결된 업랜드상의 부동산을 사고파는 플랫폼.
-현실 세계의 지도를 똑같이 따라서 만든 거울 세계에서 발생하는 경제를 현실 세계 경제와 연결하려는 흥미로순 계획
- 업랜드는 몇 명이 둘러앉아서, 말판에 적힌 일부 땅을 갖고 놀이를 구글 지도 같은 정밀 지도의 모습으로 여러 부동산을 놓고 거래하며, 거기에 강력한 블록체인 기술까지 접목.(김상균, 메타버스, 도서, 2021.6.27, p190~194)